2021년에는 바이오 관련주가 대표적으로 떠올랐다면, 2022년에는 2차 전지 관련주가 대표적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내년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최근 들어 불안한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전기차와 배터리
전기차와 2차 전지는(배터리)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차 업황이 좋지 않다면 배터리 관련 업황도 같이 안 좋아지기 마련입니다. 최근 점차적으로 전기차 판매 부진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전기차 하면 빼놓을 수 없는 테슬라 수요가 줄어줄고 있다는 통계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세계 최대의 전기차 시장이라고 볼 수 있는 중국 내에서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배터리 시장도 내년(2023년) 1분기에는 실적 감소로 둔화된 모습을 나타낼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입니다.
2. 예상 전망치의 배경
전기차와 2차 전지(배터리) 시장이 안 좋아진 이유로는 IRA법안을 뽑고 있습니다. IRA법안이 발효된 당시에는 오히려 배터리 업체에는 호재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일본·중국이 2차 전지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데, IRA법안으로 인해 중국 기업의 진출이 어려워진다면 한국과 일본 등이 시장을 계속 주도해 갈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2일 미국 대통령과 프랑스 대통령이 만난 정상회의에서 프랑스 대통령은 IRA법안에 대해 불만과 결함이 있음을 이야기했고, 미국 대통령이 이를 수긍하면서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은 하위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국가들의 의견을 듣고 수렴하기로 했지만, 아직 어떻게 결정될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불확실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많습니다.
참고
3. 한국의 2차 전지 산업(배터리)
한국은 2차 전지 산업의 기업들이 시가총액 상위에 위치하고 있을 만큼 중요한 산업 중 하나입니다. 이를 대변하듯이 올 한 해 동안(2022년) 많은 관심을 받았고 그만큼 주가도 의미 있는 상승을 보였습니다. 대표적으로는 LG에너지 설루션이 있습니다. 배터리 기업 중에서도 가장 관심을 받은 기업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불확실한 정치적 부분 때문인지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3 연임 이후, 불안한 중국시장을 빠져나온 외국인 자금이 한국시장으로 유입되며, 최근 코스피 깜짝 상승을 이끌었다는 이야기가 있었고 가장 많은 자금이 들어간 곳이 반도체와 배터리 기업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불안 요소였던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를 발표한 뒤로는 다시 반도체와 배터리 기업에서 외국인 자금이 대거 빠지는 현상이 생기며 2차 전지 관련 기업의 주가 하락을 더 부추기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에는 공매도까지 이어지며 지속적인 하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배터리 산업 관련 기업들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C, LG화학 등의 전망치가 전부 하락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향후 미국의 IRA법안이 어떻게 결정되는지가 배터리 산업에 다시 힘을 줄 수 있는 핵심 키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보고용어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 시장 개혁 권고안은 어떤 내용이 있을까 (0) | 2022.12.13 |
---|---|
2022년 마지막 남은 FOMC 정례회의 (0) | 2022.12.12 |
업무개시 명령과 화물연대 파업 (0) | 2022.12.08 |
인상된 서울 심야 택시요금 확인하고 이용하자! (0) | 2022.12.05 |
OPEC+의 원유 생산 동결 (1) | 2022.12.05 |
댓글